본문 바로가기
[Ref.]금주의 서브컬쳐

D&D의 역사 및 판본 정리

by YiORAE 2022. 7. 29.
728x90

* 본 포스팅은 Wikipedia의 "Dungeons & Dragons" 문서 내 일부 내용을 발췌 및 인용하여 작성되었음을 밝힙니다.

   - 자료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Dungeons_%26_Dragons#Original_game



1. D&D의 시작

  Dungeons & Dragons의 초창기 전신은 Jeff Perren가 작성한 중세 시대 바탕의 미니어쳐들을 사용하는 게임룰 세트였다. 이 초기 룰에  Gary Gygax이 판타지적인 요소를 추가하여 룰을 확장한 다음 Chainmail이라는 게임으로 출판하게 된다.

 

  또한, Dave Wesely는 1970년에 군대에 입대했을 무렵, 그의 친구이며 동료이자, 나폴레옹  워-게임의 게이머였던 Dave Arneson과  Wesely의 Braunstein 워-게임에 대한 중세 변형을 시작하였는데, 이때 군대 단위가 아닌 하나의 캐릭터를 플레이어가 제어하는 방식을 추가하려고 하였다. Arneson은 Chainmail 게임의 전투방식을 차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게임 플레이에 대한 자료가 쌓이면서, Arneson은 캐릭터 클래스, 경험치, 레벨 향상, 갑옷 클래스 등과 같은 당시로선 혁신적인 요소들을 추가하게 되었다.

 

  앞서 "Don't Give Up Up!"에서 Gygax와 파트너 관계를 맺은 적이 있었던, Arneson은 Gygax에게 자신의 Blackmoor라는 게임을 소개했고, 이후 두 사람은 공동 작업을 통해 Dungeons & Dragons의 전신인 "The Fantasy Game" 개발에 착수하게 된다. Gygax의 마지막 touch (내용 추가) 후  Dungeons & Dragons의 초기판 개발이 완료되었다. 게임의 이름을 정하는 데 있어선 귀여운 Episode가 하나 존재한다. 수많은 후보들 중 게임의 이름을 Dungeons & Dragons로 정하게 된 계기가 Gygax의 두 살 배기 딸이 "Oh Daddy, I like Dungeons & Dragons best!" 라고 말해서 였다고 한다.

 

 


2. 판본의 역사

   1) Original : 1974년, 3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출판되었다. 플레이어들이 워게임에 익숙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작성되어 일반인들이 즐기 기에는 룰이 다소 복잡하고 어려웠다.

 

   2) 2 track 전략의 본격화 : Original version의 복잡한 룰 개선을 통한 게임의 대중화와 기존 워-게임 마니아들의 D&D에 대한 기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당시 D&D의 출판사였던 TSR은 2 track 전략을 사용하게 된다. 바로 가벼운 룰의 Basic set를 통해 D&D의 대중적으로 알리고 Advanced D&D를 통해 마니아층에 지속적으로  어필하고자 했던 것. 덕분에 1977년, TSR은 두 가지 버전의 D&D를 시장에 내어 놓게 된다. 이것이 바로 Basic set 1st ver.과 Advanced D&D였다.

Basic set Advanced D&D 각자의 노선에서 발전 / 계승되었다. 그러나 결국 이 2 track 전략으로 말미암아, 종래에 가서는 Basic set 1st ver.과 Advanced D&D이  특정 룰에 대해서 서로 상반되는 규칙이 적용되는 아이러니한 결과를 만들게 된다.

 

   3) 개정판의 발행 : 1980년대에 Advanced Dungeons & Dragons와 Basic set는 개별적으로 발전했다. 1981년 발행된  에디터 Tom Moldvay의 Basic Set 2nd ver은 기존 룰 Set보다 더 초보자 친화적으로 수정되었다. 1983년에 Frank Mentzer의 개정판, Basic Set  3rd ver은 규칙에 대한 표현을 보다 튜토리얼같은 형태로 수정하였다. 이후, Basic Set  3rd ver를 바탕으로 Companion(1983), Master(1985), Immortals(1986) 세트가 출시되는데, 이 세트들의 특징은 이전보다 더 강력한 캐릭터를 사용하여 플레이의 난이도를 낮췄다는데 있다. Basic Set  3rd ver을 포함, 위에 나열한 세 가지 세트는 1991년 단일 하드커버 책인 Dungeons & Dragons Rules Cyclopedia로 통합되어 편집되었으며, 이 책은 새로운 입문용 Set라는 입지와 함께 출시되었다.이렇듯 초보자 친화적 노선을 밟아간 Basic set와는 달리 AD&D는 더욱더 다양하고 복잡한 룰을 발전시켜가는 양상을 띄었다. 

 

   4) Wizard of the coast 로의 편입 : 1997년, 파산 위기에 직면하였던 TSR은 Wizards of the Coast에 의해 인수된다. 이후, 3년 간의 개발 끝에 2000년에 Dungeons & Dragons 3rd Edition이 출시되다. 이를 통해 기존에 Basic 계열과 Advanced 계열은 단일 룰로 통합되었으며, 20면체 주사위를 사용한 다중 장르 롤 플레잉 시스템(=d20 system)의 기초를 다지는 계기가 된다. 이런 고로 3rd edition은 현재까지 D&D 규칙의 가장 큰 개정판이라 볼 수 있다. 

 

   5) 4th edition : 2005년 초 Wizards of the Coast 개발팀은 D&D 게임 커뮤니티에서 얻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Dungeons & Dragons 4th edition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4th edition 개발의 큰 방향은 3rd edition보다 직관적이고 빠른 플레이를 통해 더 나은 게임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위해 4th edition에서는 게임의 양식을 간소화하고 많은 규칙 변경 사항을 도입했다. 눈에띄는 변경 사항은 "Power"라는 개념이다. 이전판본의 마법을 준비하는 과정 (메모라이즈)은 사라졌고, 자신의 의지대로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Power, 적과의 조우 당 사용할 수 있는 Power, 일 별 사용할 수 있는 Power, 세 가지로 통합되었다. 이는 마법을 사용하지 않는 클래스의 특수 능력 혹은 기술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6) 5th edition : 4th edition에서 눈에 띄는 변경점은 없으나 트위치를 비롯 유튜브 등 매체를 통한 양적 확장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요약

  • 1974 (Original) 
  • 1977 (Basic set 1st ver.)
  • 1977 (Advanced D&D)
  • 1981 (Basic Set 2nd ver.)
  • 1983 (Basic Set 3rd ver.)
  • 1989 (AD&D 2nd Edition)
  • 1991 (Rules Cyclopedia)
  • 2000 (3rd edition)
  • 2003 (v3.5)
  • 2008 (4th edition)
  • 2014 (5th edition)

 

 

 

 

 

 

728x90

댓글